본문 바로가기

MLAG - Cisco vPC (2)

 

https://not-a-d.tistory.com/6

 

MLAG - Cisco vPC

MLAG (Multi-chassis Link Aggregation) : 2 or more 장비의 링크를 묶는 것으로 (상/하단 장비에서도 LAG 필요하고, 그들에게 단일 장비로 인식된다), public protocol 이기 때문에 여러 벤더에서 제공하고 있다. Extr

not-a-d.tistory.com

 

 

위 글에서 덧붙이고 싶은 내용이 생겨서 새로 쓰게 되었다.  

 

아래와 같은 토폴로지를 가정한다.

 

 

 

 

 

인터링크로 2가지의 L2 포트채널이 구성된 상황인데, 

- Po1: vPC Peer link, vPC 구성할 VLAN을 모두 얹어둔다 

- Po2: 그냥 L2 Trunk 포트로, vPC 구성하지 않을 VLAN들을 모두 얹어둔다 

 

 

그리고 L2 이기 때문에 스패닝트리 BPDU에 대해 잠깐 보도록 한다.. 

 

출처 https://techhub.hpe.com/eginfolib/networking/docs/switches/5980/5200-3921_l2-lan_cg/content/499036672.htm

 

Payload 필드 중 

Bridge ID: BPDU를 보내는 스위치의 ID로, bridge priority + MAC address 이다. 

 

 

다시 위 토폴로지로 돌아가서, non-vPC VLAN 들이 올라간 포트채널 Po2는 BPDU를 주고 받는데, 이 때 두 스위치는  vPC peer 이기 때문에 이들이 각각 보내는 MAC address는 vPC system MAC 이고, 그렇기 때문에 같다. 

그리고 둘이 각각 bridge priority 설정을 만지지 않는다면 Bridge ID 가 같아져버리는 것이다. 

 

->  N9K-1은 non-vPC VLAN에 대해 자신이 Po2를 통해 보낸 (것으로 생각되는) BPDU를 그대로 Po2를 통해 돌려받게 되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고, 이를 loop으로 인지해서 Po2를 막아버린다는 것이다. N9K-1 Po2는 BLK 상태가 된다. 

 

 

이를 막으려면 priority 값을 vPC Peer 1,2호기 간 비대칭으로 설정해주어야 한다. 아래와 같겠다. 

 

N9K-1# show running-config spanning-tree
spanning-tree vlan 1,10,20 priority 0
interface port-channel1
  spanning-tree port type network

N9K-2# show running-config spanning-tree
spanning-tree vlan 1,10,20 priority 4096
interface port-channel1
  spanning-tree port type network

(출처:https://www.cisco.com/c/en/us/support/docs/ios-nx-os-software/nx-os-software/217274-understand-virtual-port-channel-vpc-en.html

 

 

 

 


 

아래 링크를 참고했다. 

 

https://www.cisco.com/c/en/us/support/docs/ios-nx-os-software/nx-os-software/217274-understand-virtual-port-channel-vpc-en.html
BPDU 이미지 출처: https://techhub.hpe.com/eginfolib/networking/docs/switches/5980/5200-3921_l2-lan_cg/content/499036672.htm

 

'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LU channelized E1  (0) 2022.02.22
MLAG - Cisco vPC  (0) 2022.02.05
LACP in N9K  (0) 2021.04.04